벚꽃) 2. print(cabinet.get(3)) print ("flower") 를 입력하면 none이 입력된다. (X) (=> none ; flower) 3. print(cabinet[7])를 입력하면 오류가 생긴다. (O) [4~6] drama = ["김지원","김수현","박성훈"] 일 때 맞는지 아닌지 고르시오. (4점) 4. print(drama.index("김수현"))을 입력했을 때 2로 출력된다. (X) (=> 1) 5. drama.append("곽동연")을 하면 제일 앞에 추가된다. (X) (=> 제일 뒤에 추가된다.) 6. drama.insert(2,"곽동연")을 하면 김지원과 김수현 사이에 넣을 수 있다. (X) (=> 김수현과 박성훈 사이) 7. sing = {"백예린","권진아","아이유","제니"} dance = set(["아이유","제니","화사"]) 일 때 print(sing.intersection(dance)) 하면 제니가 출력된다. (X) (=> 아이유, 제니)"> 벚꽃) 2. print(cabinet.get(3)) print ("flower") 를 입력하면 none이 입력된다. (X) (=> none ; flower) 3. print(cabinet[7])를 입력하면 오류가 생긴다. (O) [4~6] drama = ["김지원","김수현","박성훈"] 일 때 맞는지 아닌지 고르시오. (4점) 4. print(drama.index("김수현"))을 입력했을 때 2로 출력된다. (X) (=> 1) 5. drama.append("곽동연")을 하면 제일 앞에 추가된다. (X) (=> 제일 뒤에 추가된다.) 6. drama.insert(2,"곽동연")을 하면 김지원과 김수현 사이에 넣을 수 있다. (X) (=> 김수현과 박성훈 사이) 7. sing = {"백예린","권진아","아이유","제니"} dance = set(["아이유","제니","화사"]) 일 때 print(sing.intersection(dance)) 하면 제니가 출력된다. (X) (=> 아이유, 제니)"> 벚꽃) 2. print(cabinet.get(3)) print ("flower") 를 입력하면 none이 입력된다. (X) (=> none ; flower) 3. print(cabinet[7])를 입력하면 오류가 생긴다. (O) [4~6] drama = ["김지원","김수현","박성훈"] 일 때 맞는지 아닌지 고르시오. (4점) 4. print(drama.index("김수현"))을 입력했을 때 2로 출력된다. (X) (=> 1) 5. drama.append("곽동연")을 하면 제일 앞에 추가된다. (X) (=> 제일 뒤에 추가된다.) 6. drama.insert(2,"곽동연")을 하면 김지원과 김수현 사이에 넣을 수 있다. (X) (=> 김수현과 박성훈 사이) 7. sing = {"백예린","권진아","아이유","제니"} dance = set(["아이유","제니","화사"]) 일 때 print(sing.intersection(dance)) 하면 제니가 출력된다. (X) (=> 아이유, 제니)">
# 이론 문제 1번

[1~3] cabinet = {4:"벚꽃", 5:"목련"} 일 때 맞는지 아닌지 고르시오. 

1. print(cabinet[4])를 입력하면 '목련'이 입력된다. (X) (=> 벚꽃)
2. print(cabinet.get(3)) print ("flower") 를 입력하면 none이 입력된다. (X) (=> none ; flower)
3. print(cabinet[7])를 입력하면 오류가 생긴다. (O)

[4~6] drama = ["김지원","김수현","박성훈"] 일 때 맞는지 아닌지 고르시오. (4점)

4. print(drama.index("김수현"))을 입력했을 때 2로 출력된다. (X) (=> 1)
5. drama.append("곽동연")을 하면 제일 앞에 추가된다. (X) (=> 제일 뒤에 추가된다.)
6. drama.insert(2,"곽동연")을 하면 김지원과 김수현 사이에 넣을 수 있다. (X) (=> 김수현과 박성훈 사이)

7. sing = {"백예린","권진아","아이유","제니"}
dance = set(["아이유","제니","화사"]) 일 때
print(sing.intersection(dance)) 하면 제니가 출력된다. (X) (=> 아이유, 제니)
# 이론 문제 2번
1. max 함수에 [1, 2, 3, 3, 3] 을 넣어 출력하면 3 이 츨력된다. (O)

2. print 함수의 sep 매개변수를 "-" 로 설정하여 ["a", "b", "c"] 를 출력하면 a-b-c 와 같이 출력된다. (O)

3. dictionary 변수에 {"a": 123, "b": 456} 를 저장하여 dictionary.values()[0] 를 출력하면 123 이 출력된다. (X) (=> print(dictionary[“a”])을 출력하면 123이 출력된다.)

4. 빈 리스트, 즉 [] 에 pop 함수를 사용하면 None 값이 출력된다. (X) (=> error)

5. {4, 3, 2, 1} 를 list 로 형변환을 한 결과와, [4, 3, 2, 1] 에 sort() 함수를 사용한 결과의 출력값은 서로 동일하다. (O)
# 실습 문제 1번
cafe = ("투썸플레이스","파리바게트", "카페드림")
result = []
result.extend(cafe)
result.insert(2,"결")
result.append("돌빵")

price = [2500,4000,3500,5000,4300]
price.sort()
price.reverse()

result.extend(price)

print(result)
# 실습 문제 2번
print("{'J3': '영희', 'J4': '철수'}")

time = "13시 30분"
seat = input()
name = ("영희", "철수")

seat = seat.split(', ')
seat1 = seat[0][0:-1]
seat2 = seat[1][0:-1]

print("{'%s': '%s', '%s': '%s'}" %(seat1 , name[0], seat2, name[1]))
print("시간: {} 좌석: {} 예매자: {}\\n시간: {} 좌석: {} 예매자: {}" .format(time, seat1, name[0], time, seat2, name[1]))